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태식법(胎息法) 태식법(胎息法) 사람은 태 중에 있을 때 입과 코로 호흡하지 않고 오직 배꼽줄을 통하여 어머니의 임맥에 매달려 숨을 쉰다. 임맥은 페에 통하고 있으며 폐는 코와 서로 통해 있기 때문에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 태아도 내쉬고 어머니가 숨을 들이쉬면 태아도 들이쉰다. 그 기가 모두 배꼽 위에서 오간다. 천태를 식신이라고 한다. 태어나려고 할 때에는 정혈과 서로 합하여 배꼽에 뿌리를 박고 있다. 그리하여 태어날 때 배꼽줄이 서로 달려있는 것이다. 호흡조절을 배우려먼 반드시 그 기운이 나올 때에는 배꼽에서 오고 들어갈 때는 배꼽에 가서 사라지도록 해야한다. 호흡을 조절하여 아주 적게 쉬다가 나중에는 입과 코로 쉬지 않고 배꼽에 가서 사라지도록 해야한다. 이같은 방법이 태중에 있는 것과 같이 하기 때문에 태식이라 한.. 더보기
기위호흡지근(氣爲呼吸之根) 기위호흡지근(기는 호흡의 근원이 된다. 氣爲呼吸之根) 사람이 태중에 있을 때는 어머니를 통해서 호흡하다가 태어나서 탯줄을 끊으면 한점의 신령스러운 기운이 배꼽 밑에 모인다. 사람에게는 기(氣)가 제일 먼저이고, 기는 호흡에서부터 시작된다. 숨을 내쉴때에는 하늘의 근본가 맞닿고, 숨을 들이쉴 때에는 땅의 근본에 적응하는 것이다. 한번 닫히고 열리는 것을 변화라고 하며, 오가는 것을 끊임없이 하는 것을 통한다고 한다. 수양할 때, 숨을 내쉬고 들이쉬는 것을 열고 닫는다고 이야기한다. 호(呼)와 흡(吸) 두가지는 정한 방위가 없이 작용하여 6허(상하.전후/좌우로 표현한 괘(卦)의 6획)로 두루 돌아간다. 오래되면 신(神)이 모이고 호흡이 안정됨으로써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숨을 내쉴 때 기가 나오는 것은 양이.. 더보기
생기지원(生氣之原) 생기지원(기가 생기는 근원. 生氣之原) 12경맥은 모두 기가 생기는 근원과 연계되어 있다. 기가 생기는 근원이라는 것은 양쪽 신장 사이에 있는 동기(動氣)를 말한다. 이것은 오장육부의 기본이며 12경맥의 근원이고 호흡하는 문호이며 삼초의 근본이다. 때문에, 기라는 것은 사람의 몸에서 근본이다. 또한 기해(氣海)와 단전(丹田)은 실제로 기를 생기게 하는 근원이 된다. 기해혈은 배꼽 아래에서 1치 5푼 되는 곳에 있고 단전은 일명 관원이라고도 하는데, 배꼽 아래에서 3치 되는 곳에 있다. 더보기
영위이행(榮衛異行) 영위이행(영과 위는 따로 돌아간다. 榮衛異行) 영기(榮氣)는 수태음에서 시작하여 족궐음에서 끝나는데, 몸을 한번 돌아간다. 그 도는 것을 보면 겉으로는 몸체와 팔다리로 가고 안으로는 오장육부에 가서 돌아가지 않는 곳이 없다. 그것이 50번 도는데, 밤낮, 음양의 차이가 없다. 위기(衛氣)는 낮에는 몸체와 팔다리 밖을 양으로 돌아다니고, 오장육부 내부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밤에는 오장육부 안에서 음기를 돌게 하고, 몸체와 팔다리의 밖으로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50번을 돌아서 아침이 되면 영기와 수태음에서 또다시 만난다. 더보기
위기행도(衛氣行度) 위기행도(위기가 돌아가는 횟수. 衛氣行度) 위기는 하루동안 몸을 50번 돈다. 낮에는 양(陽)부위를 25번 돌고 밤에는 음(陰) 부위를 25번 돈다. 그러므로 아침에는 음기가 없어지고 양기가 눈으로 나오면서 시작한다. 눈을 뜨면 기가 머리로 올라갔다가 목덜미를 따라 족태양경맥에 내려와서 새끼발가락 끝에 와서 끝난다. 다른 한 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수태음경맥을 따라 내려가 새끼손가락의 바깥에 와서 끝난다. 또 한가닥은 눈초리에서 갈라져 족소양경맥을 따라 내려와서 새끼발가락과 넷째발가락 사이로 빠진다. 위로 올라가는 것은 갈라진 수소양경맥쪽으로 올라가서 새끼손가락에 와서 끝난다. 여기에서 갈라진 것이 귀의 앞으로 올라가서 족양명경맥으로 들어간다. 다른 한 가닥은 귀밑에서 수양명경맥으로 내려와서 엄지손가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