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심합도(虛心合道, 마음에 잡념이 없어야 수양하는 이치에 맞는다.)
백옥섬은
" 사람에게 욕심이 없으면 수양하는 이치에 맞고 욕심이 있으면 그 이치와는 어긋난다. 오직 이 '없을 무(無)' 한 자는 모든 현상을 다 포괄하고 있으므로 끝이 없으며 만물은 생겨서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천지가 비록 크나 형태가 있는 것은 조종할 수 있어도 형태가 없는 것은 조종하지 못한다. 음양의 이치가 비록 묘하지만 기운이 있는데만 작용하고 기운이 없는 데는 작용하지 못한다. 오행이 매우 정미로운 것이지만 수(數)가 있는 데만 작용하고 수가 없으면 작용하지 못한다. 그리고 온갖 생각이 어지럽게 떠올라도 의식이 있는 데만 작용하고 의식이 없는 데는 작용하지 못한다. 이렇게 이치를 수양한다는 것은 우선 그 몸을 단련시키는 것만 못하다. 몸을 단련한다는 것은 정신을 통일하는데 있다. 정신이 통일되면 기가 모이고 기가 모이면 단을 이루며 단이 이루면 형체가 든든해지고 형체가 든든해지면 정신이 건전해진다."고 하였다.
이에, 송제구는
"형체를 잊어서 기를 수양하고, 기를 잊어서 정신을 수양하며, 정신을 잊어서 잡념이 없도록 수양한다. 이 '잊을 망(忘)'자는 곧 없다는 것을 뜻한다. '본래 아무것도 없는데 어느 곳에 티끌인들 붙겠는가'라는 말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심합천기(人心合天機) (0) | 2017.03.16 |
---|---|
논상고천진(論上古天眞) (0) | 2017.03.11 |
학도무조만(學道無早晩) (0) | 2017.03.09 |
이도요병(以道療病) (0) | 2017.03.08 |
사기조신(四氣調神) (0) | 2017.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