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사시절선(四時節宣)

사시절선(사철에 맞게 몸을 조섭하는 것. 四時節宣)

 

 

 

 

양생서에는

"봄에 늦게 자고 일찍 일어나며, 여름과 가을에는 밤이 깊어서 자고 일찍 일어나며, 겨울에는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나는것은 모두 사람에게 유익한 것이다. 일찍 일어난다 하여도 닭이 울기전에 일어나지 말 것이며 늦게 일어난다 하더라도 해가 뜬 후까지 있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겨울에는 머리를 차게 하고 봄과 가을에는 머리와 발을 모두 차게 한다. 이것이 심인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방법이다."라고 하였다.

 

 

 

 

 그믐날에는 늘 목욕을 하고, 초하로에 머리를 감는 것이 좋으며 배고플때에 목욕을 하지 말며 배부를 때에 머리를 감지 말아야 한다.

 

 

 

 

 대체로 사람은 봄과 여름에는 동쪽을 향해서, 가을과 겨울에는 서쪽을 향해서 누우며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여 눕지 말것이다. 대체로 큰 바람과 큰 비, 짙은 안개와 심한 더위, 심한 추위와 모진 눈을 다 조심해야 한다. 갑자기 폭풍우나 우레와 번개 또는 몹시 어두운 때를 만나게 되면 이것은 다 온갖 용과 귀신들이 행동하고 지나가는 것이므로 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향을 피우고 단정히 앉아 있으면 상하지 않는다.

 

 

 

 

 위생가에는

 " 사철 중에 여름철이 조섭하기 힘들도다. 묵은 추위 속에 있어 설사하기 아주 쉽네. 신장 기능 보할 약은 없어서는 아니 되고 식은 음식 입에 대지 말 것이다. 심장기운 왕성하고 신장기운 쇠약하여 정기를 아끼는 게 첫째가는 조섭일세. 문을 닫고 누워자며 정신 너무 쓰지 말라, 얼음물과 찬 과실도 지나치면 해롭다네. 가을철 들어서서 학질 이질 앓기 쉽네."라고 노래하였다.

 

 

 

 

구선에는

"여름 한철은 사람의 정신이 피로해지는 시기이고 심은 왕성해지며 신은 쇠약해진다. 신에 의해 물이 되고 그것이 가을에 이르러 응결되고 겨울에 가서 굳어진다. 그러므로 여름에는 더욱 신을 보양하고 아껴야한다. 때문에 여름에 노인, 젊은이 할 것 없이 다 더운 음식을 먹는다면 가을에 가서 고생하지 않는다. 뱃속이 늘 따뜻하면 모든 병이 생기지 않으며 혈기가 왕성해진다."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 2. 정(精) - 정위신본(精爲身本)  (0) 2017.03.31
양성연년약이(養性延年藥餌) (1)  (0) 2017.03.29
양성금기(養性禁忌)  (0) 2017.03.24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0) 2017.03.23
섭양요결(攝養要訣)  (0) 2017.03.20